본문 바로가기

미디음악7

컴퓨터 음악 작곡 4/4 드럼 만들기 DAW 비교 Piano Roll을  몇 가지 DAW에서 비교해 보았다.지난 포스팅에서는 드럼을 만들기 위한 기본적인 아주 기본적인 음악 이론의 한 부분과 함께 Reason Studio를 이용하여 한마디의 드럼을 만들어 보았다. 음악의 용어에서 "마디"라는 것에 대한 개념과 BPM에 대한 이야기도 해보았고, 목표는 4마디 드럼과 베이스 라인을 만들어 보는 것이지만 초보자 입장에서 접근하다 보니 내용이 길어지고 있다. 우선 오늘 포스팅에서는 가장 대표적으로 많이 활용되는 DAW 에서 1마디 드럼 만들기를 시연하면서 이전 포스팅에서 이야기했던 DAW 종류가 바뀌어도 피아노 롤에 대한 개념은 똑같으며 단지 기능들의 버튼이나 아주 약간의 화면 스타일이 달라지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중점을 두도록 하겠다.  우선 가장 많이 대표.. 2025. 3. 25.
컴퓨터 가상악기로 드럼과 베이스 만들기 4/4박자, 120 BPM. 8마디 심플 드럼 만들기  우선 왕초보 입문자들을 위한 포스팅인 만큼, 미션은 4/4 박자에 120 BPM에 8마디 드럼과 베이스 만들기이지만 일단 1마디 드럼을 만들어 보는 것으로 오늘의 포스팅은 중점을 두고 맞춰 보겠다.음악 기초 이론 마디 라는 것은 무엇일까?  음악에서 마디라는 것은 음표의 개수를 일정하게 정해서 묶어 놓은 기준을 이야기한다고 볼 수 있다.  흔하게 "콩나물 대가리" 라고 부르는 음표는 번호를 붙여서 부르는데 보통 온음표, 2분 음표, 4분 음표, 8분 음표, 16분 음표, 32분 음표, 64분 음표, 128분 음표 그리고 점음표 등등으로 나누어져 있다. 우선 4분음표 기준으로 한 것이 4/4 박자 인대, 한 묶음 안에 4분 음표가 네 개가 들어간다고 .. 2025. 3. 19.
컴퓨터 음악 작곡 필요한 장비 컴퓨터 음악 작곡을 위해 갖춰야 할 최소한의 기기들안녕? 이 추운 겨울의 끝자락에서 3월의 마지막 쌀쌀함을 맞이하면서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계속 진행해 보려고 해. 우선 컴퓨터 사양과 핵심이 되는 DAW 에 대해서 이야기했었지.  그럼 기본적인 컴퓨터와 DAW 프로그램을 선택했다면 이번에는 소리를 듣기 위한 장치 바로 스피커와 헤드셋을 마련해야 할 거야. 우선 스피커로 첫 작업 체험을 준비할 경우 고려해야 할 점은 우선은 소리를 "어느 정도 낼 수 있는 공간이 있는 가?" 이것이 종요해진다고 보면 된다. 소리가 엄청 크게 날때 주위에 방해를 받거나 혹은 환경적 요인들이 있다면 스피커를 장만하기 전에 먼저 이런 요인들을 제거하거나 혹은 자신만의 공간을 만들거나 아니면 주위 가족이나 함께 지내는 사람 혹은 .. 2025. 3. 7.
Dynamic 과 음악의 강,약 요소들 음악기초배우기 사이트 지난 글에 이어서 음악을 구성하고 있는 오소들 중에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부분 리듬을 이야기하기 위해 4박자 비트를 설하면서 Ableton Live 사에서 운영하는 정말 음악 초보자에서 부터 중급 이상을 넘나드는 사람들도 유익하게 접할 수 있는 사이트를 링크해 두었다. 오늘은 그 다음 챕터의 링크를 아래에 달아 두겠다. 아래 링크 참조https://learningmusic.ableton.com/ko/make-beats/what-are-these-sounds.html위의 사진 처럼 같은 빠르기 같은 리듬으로 구성된 드럼 비트를 두 가지 사운드 샘플로 들어 볼 수 있다.  그리고 직접 리듬을 (지난 포스팅 참조) 만들어 비교해 볼 수 있다.같은 음악적 리듬의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 2025. 2. 19.
컴퓨터음악 만들기 노하우 서론 3 음악 만들기 서론 3  내가 90년대에 청소년 시절을 보내면서 들리던 말은 세상이 점점 빨리 돌아간다는 말이었다. 그렇다면 지금은 어떻게 되었나? 지금은 2025년, 이젠 뭐 그냥 초 스피드 이상을 넘어서서 눈부신 발전이, 아예 눈에 너무 부셔서 앞이 안 보일 정도로 세상이 발전해 버렸다는 거지. 서두부터 이렇게 이야기를 시작하는 이유는?? 우리는 어디까지나 2025년을 살다보니 모든 삶의 방식이 오직 간편함과 편리함을 추구하기 때문에 모든 분야가 “귀찮은 건 던져 버리고 오로지 결과만 만들어 내자!!!”라는 시대가 된 것임. 음악도 그런 추세를 타고 많은 것이 변형을 이루어 이제는 복사라는 개념 자체가 없어져 버렸다는 거지, 누가 요즘 음악 복사해? 그냥 유튜브로 찾아서 듣지 안 그래?친절하게 영상까지.. 2025. 2. 7.
컴퓨터 음악 만들기 노하우 서론 2 음악 만들기 서론 2 소리들의 모음 이라는 이야기를 하였었는데. 이제는 이 소리들의 모음이 음악이라 불리게 되기 까지 어떤 과정을 거쳐서 음악이라 불리게 되었을까? 기록에 따른다면 우리나라에서는 대략 적으로 소리 혹은 악 정도로 사용 되었던것 같다. 서양에서는 “Music”(뮤직) 이라는 어원이 그리스어에서 예술을 가르키는 단어 “무지케”(엉? 응? 무지개? 와우. 이건 우연의 일치일까?) 에서 유례되었다고 하고, 신이라는 뜻을 가졌다고 하는대 음… 더 들어가면 북유럽 신화들까지 이야기 해야 할 판이라서 여기서 슬그머니 발을 빼련다. (너무 방대해… 내 머리가 따라 주지도 않거니와…ㅜ.ㅜ)우리 나라에서는 1900년도에 독일인 에케르트가 고종의 지시를 받아 군악대를 조직해서 음악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다고 구.. 2025. 2. 5.